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요구사항 확인
    잡다구리 2022. 10. 11. 17:10
    반응형
    구분 내용
    가용성 장기간 시스템을 운영할 때 장애 발생 가능성
    DBMS의 버그 등으로 인한 패치 설치를 위한 재기동
    백업 및 복구 편의성
    DBMS 이중화 및 복제 지원
    성능 대규모 데이터 처리 성능(분할 테이블의 지원여부)
    대량 거래 처리 성능
    다양한 튜닝 옵션 지원
    비용 기반 최적화 지원 및 설정의 최소화
    기술 지원 공급 벤더들의 안정적인 기술 지원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
    오픈 소스 여부
    상호 호환성 설치 가능한 운영체제 종류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JDBC, ODBC
    구축 비용 라이선스 정책 및 비용
    유지 및 관리 비용
    총 소유 비용(TCO)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요구사항 소스   요구사항 분류   시스템 정의서   검토
    도출 기법   개념 모델링   시스템 요구사항 명세서   프로토타이핑
        기술 구조 설계 및 요구사항 할당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모델 검증
        요구사항 협상       인수테스트

     

    유스케이스 명세서 예시

    항목 내용
    유스케이스 명 로그인한다.
    관련 액터 사용자, 회원, 비회원, 관리자
    개요 사용자는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고 비회원은 메일 주소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한다.
    사전 조건 회원은 사전에 회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한다.
    사후 조건 회원은 읽고 쓰기 권한, 비회원은 읽기 권한만 부여되어야 한다.
    정상흐름 1. 로그인 화면에서 회원은 공인 인증서 로그인을 선택한다.
    1-1. 공인 인증서에 유효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1-2. 회원 등급에 맞는 권한을 부여한다.
    2. 로그인 화면에서 비회원은 비회원 로그인을 선택한다.
    2-1. 비회원은 메일 주소 및 비밀번호를 제공하여 로그인한다.

     

    요구사항의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결과를 요구사항 관련 이해관계자가 검증한다.

    1. 요구사항의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결과를 요구사항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배포하여 사전 검토를 요청한다.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결과 검증을 위한 회의 이전에 관련 이해관계자가 사전 검토를 하도록 함으로써 검증 작업이 효과적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것이다.

     

    2. 관련 이해관계자가 모여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결과를 검증한다.

     

    3. 타당성 분석 결과에 이견이 있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재 하에 합의를 도출한다.

    요구사항이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결과가 관련 이해관계자 간 이견이 있는 상태로 남아 있지 않도록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재 하에 타당성 분석 결과의 이견을 해소하도록 한다.

     

     

    검토 분야 검토 내용
    성능 및 용량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분석모델에 따라 시스템을 구현할 때 요구되는 시스템의 자원을 식별한다.
    분석 클래스에서 불필요하고 지나치게 많고 속성들을 포함시키게 되면 객체 생성 시 시스템의 메모리 자원을 많이 요구하게 되며, 이로 인한 JVM에서 과도한 가비지 컬렉션이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 저하가 빈번히 발생한다.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분석모델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간 상호 정보 및 서비스를 교환 가능한지 검토한다.
    분석모델에서 정의한 구체적인 정보의 존재 여부, 생성 가능성, 교환 방식 지원 등에 대해서 확인한다.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분석모델이 과거의 문제를 해결하고 많이 사용되는 트렌드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서 중요하고 빈번하게 사용되는 클래스를 Spring의 프로토타입 빈으로 사용할 것을 가정하고 분석모델이 작성되지 않았는지 검토한다.
    기술적 위험 분석 분석모델이 시스템의 기술 구조, 프레임워크,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부합되는지 확인한다.
    분석모델이 검증되지 않은 기술의 사용을 가정으로 하고 있어 추가적인 비용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한다.
    분석모델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정 업체 기술, 특허, 라이선스에 의존해야하는지 확인한다.

     

     

     

    \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